[서평] 애자일 & 스크럼 프로젝트 관리
데일리 스탠드업 미팅은 팀원끼리 업무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업무 협력을 촉진하려는 목적에서 수행한다.
1. 책을 선택한 이유
이전에 처음으로 진행하게된 큰 프로젝트에서 애자일 방법론을 적용해서 했었다
하지만 그 때는 처음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서 모르는 부분도 많았고 그냥 따라가게 되었다
그리고 거의 대부분 외주 개발사가 개발을 진행했기 때문에 나는 크게 체감이 되지 않았다
오히려 귀찮게 회의가 너무 많다고 생각했다. 그 때 이 글의 저자인 이재왕 스크럼 마스터께서 도와주셨고
프로젝트는 진짜 아무 문제 없이 성공적으로 기간안에 마칠 수 있었다.
개발사 PM, 우리 팀 PM 분들이 모두 소통을 잘 해주고 개발도 잘해주신 부분도 있겠지만
애자일 방법론을 통한 프로젝트 관리도 한 몫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리고 최근에 PM은 아니지만 프로젝트의 B/E PL을 맡게되면서
스크럼, 코드리뷰를 진행하면서 열심히 이끌어가보려고 하고있다.
그래서 이 책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지 않을까 싶어서 꺼내보게 되었다.
2. 책 정보
- 저자
- 이재왕
- 출판
- 길벗
- 출판일
- 2016.05.06
3. 주제
애자일과 스크럼의 철학을 이해하고, 이를 실무에 적용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지침과 사례를 담은 책
현재 현업에서 개발을 하고 있다면 거의 모든 프로젝트에서 애자일을 도입하여 진행하지 않을까 싶다
위에서도 아마 그렇게 시킬거다. 하지만 계속 예전 방식대로 프로젝트를 진행해온 PM, PL들을 잘 모르지만 어쩔 수 없이 하게된다
형식적인 미팅을 오전마다 하게 되면서 팀원 들에게 스트레스만 안겨주게 되고,,, 애자일의 본질이 없다
물론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전사차원에서 교육을 지원하거나 애자일 코치와 같은 전문 인력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팀원이 애자일 방식의 가치를 느끼지 못하고 '업무로드'로 생각하게 되면 안된다.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애자일의 본질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다.
4. 핵심 내용 요약
- 애자일의 본질: 프로세스와 도구보다는 개인과 개인간의 상호작용, 문서화 보다는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계약 협상 보다는 고객과 협력, 계획 보다는 변화
- 애자일 프로젝트의 계획, 관리 방법 및 실제 적용 사례
- 애자일 진행관리의 특징: 수행 성과에 초점, 개인보다는 팀 공동 책임 업무, 팀원의 사기와 업무 만족도 중요시, 멀티 태스킹 최소화
- 애자일 프로젝트 리더는 구성원이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코치 및 퍼실리테이터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5. 추천 대상
- 스크럼 도입을 고려 중인 팀 리더
-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애자일 방법론이 궁금한 개발자/PM
- 형식적인 애자일이 아닌, 철학과 원칙을 제대로 이해하고 싶은 분
6. 한 줄 평
애자일을 '하는 척'이 아닌 '제대로 하는 법'을 알려주는 애자일의 본질을 담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