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pberryPi
-
이제 라즈베리파이 NAS 관련해서는 거의 모든 기본 설정은 다 했습니다 그 중에 하나 빼먹은게 있었습니다 바로 DDNS 설정입니다 요즘 공유기에서들 많이 제공하는 기능으로 보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공유기는 iptime이며 iptime에서도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설정을 위해서 iptime 관리 페이지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특수기능 - DDNS 설정 탭이 있습니다 호스트이름에 주소로 쓸 원하는 호스트이름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사용자ID에는 메일주소를 적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DDNS 등록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그런데 위 처럼 등록시간과 갱신시간이 나와있지 않습니다 이 경우는 호스트이름이 이미 사용중이어서 그렇습니다 다른 이름을 사용해야 합니다 ㅠㅠㅠ 다른 호스트이름으로 바꾸고 DDNS 등록을 다시 했습니다 그랬더니 ..
라즈베리파이 NAS(openmediavault) 구축 15탄 :: DDNS 설정하기이제 라즈베리파이 NAS 관련해서는 거의 모든 기본 설정은 다 했습니다 그 중에 하나 빼먹은게 있었습니다 바로 DDNS 설정입니다 요즘 공유기에서들 많이 제공하는 기능으로 보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공유기는 iptime이며 iptime에서도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설정을 위해서 iptime 관리 페이지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특수기능 - DDNS 설정 탭이 있습니다 호스트이름에 주소로 쓸 원하는 호스트이름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사용자ID에는 메일주소를 적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DDNS 등록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그런데 위 처럼 등록시간과 갱신시간이 나와있지 않습니다 이 경우는 호스트이름이 이미 사용중이어서 그렇습니다 다른 이름을 사용해야 합니다 ㅠㅠㅠ 다른 호스트이름으로 바꾸고 DDNS 등록을 다시 했습니다 그랬더니 ..
2022.01.22 -
라즈베리파이에서 SSD를 마운트하다가 fstab을 잘 못 수정해서 난감한 상황이 발생했었습니다 그냥 복사해서 붙여 넣을걸 괜히 직접 쓰다가 콤마(,)를 점(.)으로 보고 잘 못 썼습니다 그래도 어찌저찌 해결해서 에러 해결 로그를 적어보려 합니다 라즈베리파이 부팅 에러 발단은 이렇습니다. SSD를 라즈베리파이에 마운트 후 fstab을 수정하여 자동 마운트하려다가 잘 못 수정하였습니다 그렇게 sudo reboot을 통해 재부팅을 진행했는데 파일이 잘 못 되어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아 22번 포트로 붙을 수 없었습니다 ㅠㅠㅠㅠㅠ emergency mode, root account locked 해결 방법입니다 해결 방법 1. cmdline.txt 파일 수정 sd 카드를 빼서 본인의 컴퓨터에 연결합니다 sd카..
라즈베리파이 fstab 잘 못 수정으로 인한 에러 해결 로그(emergency mode, root account locked solution)라즈베리파이에서 SSD를 마운트하다가 fstab을 잘 못 수정해서 난감한 상황이 발생했었습니다 그냥 복사해서 붙여 넣을걸 괜히 직접 쓰다가 콤마(,)를 점(.)으로 보고 잘 못 썼습니다 그래도 어찌저찌 해결해서 에러 해결 로그를 적어보려 합니다 라즈베리파이 부팅 에러 발단은 이렇습니다. SSD를 라즈베리파이에 마운트 후 fstab을 수정하여 자동 마운트하려다가 잘 못 수정하였습니다 그렇게 sudo reboot을 통해 재부팅을 진행했는데 파일이 잘 못 되어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아 22번 포트로 붙을 수 없었습니다 ㅠㅠㅠㅠㅠ emergency mode, root account locked 해결 방법입니다 해결 방법 1. cmdline.txt 파일 수정 sd 카드를 빼서 본인의 컴퓨터에 연결합니다 sd카..
2021.12.23 -
현재까지 라즈베리파이 기본 설정은 마친 상태입니다 ssh로 접속해 모니터나 주변기기 연결 없이 편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부 IP 주소가 바뀔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IP를 고정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라즈베리파이 IP 고정하는 방법 with iptime 공유기 이제 어디로 접속해야 하는지 아시죠?? 192.168.0.1로 접속하여 iptime 설정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고급설정 - 네트워크 관리 - DHCP 서버 설정으로 이동하면 위와 같은 창이 보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현재 사용중인 IP 정보들을 볼 수 있습니다 사용중인 IP 주소 정보에서 라즈베리파이를 찾아 클릭하게 되면 아래 수동 주소 입력창에 IP 정보와 MAC 정보가 자동으로 기입됩니다 식별할 수 있는 설명을..
라즈베리파이 NAS(openmediavault) 구축 5탄 :: IP 고정하기(iptime)현재까지 라즈베리파이 기본 설정은 마친 상태입니다 ssh로 접속해 모니터나 주변기기 연결 없이 편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부 IP 주소가 바뀔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IP를 고정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라즈베리파이 IP 고정하는 방법 with iptime 공유기 이제 어디로 접속해야 하는지 아시죠?? 192.168.0.1로 접속하여 iptime 설정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고급설정 - 네트워크 관리 - DHCP 서버 설정으로 이동하면 위와 같은 창이 보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현재 사용중인 IP 정보들을 볼 수 있습니다 사용중인 IP 주소 정보에서 라즈베리파이를 찾아 클릭하게 되면 아래 수동 주소 입력창에 IP 정보와 MAC 정보가 자동으로 기입됩니다 식별할 수 있는 설명을..
2021.11.16 -
라즈베리파이 4B로 NAS 구축하기 본격적인 시작입니다 NAS를 구축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존재합니다 1. 시놀로지 같은 제품 2. NUC 3. 라즈베리파이 4. 등등 1번은 제일 편하고 쉽게 구축할 수 있지만 가격대가 굉장히 비쌉니다 SSD나 하드 없이 껍데기만으로도 docker 돌리고 하려면 40만원 이상의 제품을 사야합니다(시놀로지 기준) 그래서 1번은 pass, 2번은 그래도 저렴한 편이긴 한데 저는 좀 더 저렴하게? 구축하기 위해서 그리고 사실 많이 익숙한 라즈베리파이를 구축하기로 하였습니다. 라즈비안만 못해도 10번은 설정해 봤을듯.. 그래서 라즈베리파이4를 중고로 싸게 구매하고 필요한 제품들을 하나하나씩 구매해갔습니다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하드가 아닌 M.2 방식의 SSD로 결정..
라즈베리파이 NAS(openmediavault) 구축 3탄 :: argon one M.2 케이스 조립 (with WD BLUE SSD)라즈베리파이 4B로 NAS 구축하기 본격적인 시작입니다 NAS를 구축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존재합니다 1. 시놀로지 같은 제품 2. NUC 3. 라즈베리파이 4. 등등 1번은 제일 편하고 쉽게 구축할 수 있지만 가격대가 굉장히 비쌉니다 SSD나 하드 없이 껍데기만으로도 docker 돌리고 하려면 40만원 이상의 제품을 사야합니다(시놀로지 기준) 그래서 1번은 pass, 2번은 그래도 저렴한 편이긴 한데 저는 좀 더 저렴하게? 구축하기 위해서 그리고 사실 많이 익숙한 라즈베리파이를 구축하기로 하였습니다. 라즈비안만 못해도 10번은 설정해 봤을듯.. 그래서 라즈베리파이4를 중고로 싸게 구매하고 필요한 제품들을 하나하나씩 구매해갔습니다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하드가 아닌 M.2 방식의 SSD로 결정..
2021.11.08 -
라즈베리파이로 NAS 구축하기 1탄입니다 NAS로 구축하기 위해서 첫 번째로 해야할 일은 sd card에 라즈비안(라즈베리파이 OS)를 굽는 일입니다 sd카드에 라즈비안을 굽기 전에 우선 sd 카드 포맷부터 시작합니다 사용한 sd카드는 삼성 evo sd card 32기가 입니다 후에 USB나 SSD를 부팅 디스크로 사용하지 않을거라면 class10이상의 sd 카드를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후에 OMV5를 설치할 예정이기 때문에 라즈베리파이 2B이상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SD 카드 포맷 저는 노트북에 sd 카드 꽂을 슬롯이 있기 때문에 리더기 없이 바로 노트북에 연결하였습니다 그러면 우선 바로 포맷을 진행합니다 볼륨 레이블은 바꿔도 되고 안 바꿔도 됩니다(어차피 라즈베리파이에 서식할 운명) 여기서 파일..
라즈베리파이 NAS(openmediavault) 구축 1탄 :: 라즈비안 OS 설치방법(with 삼성 evo sd 카드)라즈베리파이로 NAS 구축하기 1탄입니다 NAS로 구축하기 위해서 첫 번째로 해야할 일은 sd card에 라즈비안(라즈베리파이 OS)를 굽는 일입니다 sd카드에 라즈비안을 굽기 전에 우선 sd 카드 포맷부터 시작합니다 사용한 sd카드는 삼성 evo sd card 32기가 입니다 후에 USB나 SSD를 부팅 디스크로 사용하지 않을거라면 class10이상의 sd 카드를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후에 OMV5를 설치할 예정이기 때문에 라즈베리파이 2B이상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SD 카드 포맷 저는 노트북에 sd 카드 꽂을 슬롯이 있기 때문에 리더기 없이 바로 노트북에 연결하였습니다 그러면 우선 바로 포맷을 진행합니다 볼륨 레이블은 바꿔도 되고 안 바꿔도 됩니다(어차피 라즈베리파이에 서식할 운명) 여기서 파일..
2021.10.30